VPP 기반 통합에너지 관리기술
사업개요
- (추진목표) 다양한 분산자원(자가발전기, 수요자원, ESS 등)을 ICT 기술로 통합하여 단일의 가상발전소 통합·운영을 위한 기술개발 및 실증
- (사업기간) '13. 6 ~ '16. 5
- (추진근거) 지능형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9조제1항제2호

사업내용
- 가상발전시스템(VPP) 구축을 위한 제반기술 개발
- VPP 플랫폼 시제품 개발 및 핵심요소 기능 구현
- VPP 관련 운영시스템 및 안전관리시스템 개발
- 시뮬레이터 기반 VPP 최적 운영 알고리즘 개발
- VPP 시범운영을 위한 자원 발굴 및 통합 실증 추진
- 비상발전기·수요자원·에너지저장장치(ESS) 등 가상발전을 위한 분산자원 모집
- 분산자원 응동 시험 및 통합 실증 추진
- VPP 사업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 VPP 자원(소규모 분산자원 포함)의 전력시장 참여방안 연구
- VPP 활성화를 위한 분산자원별 관계 법령 현황 분석 및 개선방안 도출
- • 비즈니스 모델개발
- • 시나리오별 편익분석을 위한 조사연구
- • 시뮬레이션 환경개발
- • 시나리오별 편익분석
- • VPP 운영 제도 설계 및 분석
- • 시뮬레이션기반 최적운영 알고리즘개발
- • VPP 제도 및 정책개발
- • 통합 최적운영 알고리즘 확장 및 검증
- • 통합 운용/관리 플랫폼 설계
- • 비상발전기 진단시스템개발
- • 통합관리 플랫폼 개발 및 기능시험(자원연동)
- • 통합관리 인터페이스 구현
- • TOC와 TMC의 Data연동 및 기능 최적화
- • 통합관리 기능 보완 및 고도화
- • 자원 조사 발굴
- • 시스템 구축 및 실증
- • 시스템 구축 및 실증
- • 시스템 구축 및 실증
- • 통합 시스템 운영 및 효과 분석

전체일정 | 설계 및 구축 | 시범운영 | 통합운영 |
---|---|---|---|
1차년도(2013) | 2차년도(2014) | 3차년도(2015) | |
정책 |
|
|
|
기술 |
|
|
|
실증 |
|
|
|
기대효과
- 다양한 형태로 산재되어 있는 에너지원의 효율적 활용을 통한 전력수급 안정화
- 분산자원 활용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에너지 신산업 육성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