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스마트그리드 실증사업
사업개요
- (추진목표) 기개발된 단품위주의 제품들을 통합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 및 검증이 가능한 인프라 구축·운영
- (추진지역) 제주도 구좌읍(제주 동북부 소재)일대(약 2천가구) 및 제주시내 일부
- (사업기간) 2009.12 ~ 2013.5
- (추진근거) 지능형전력망의 구축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제19조제1항제2호
- (사업분야 및 참여기업 현황)

분야 | 주도기업 | 참여기업 |
---|---|---|
지능형 소비자 (79개 기업) |
SK텔레콤 | 삼성전자, 일진전기 등 22개 기업 |
KT | 삼성SDS, 삼성물산 등 17개 기업 | |
LG전자 | LG유플러스, GS건설 등 8개 기업 | |
한국전력 | 대한전선, 누리텔레콤 등 28개 기업 | |
지능형 운송 (42개 기업) |
한국전력 | 삼성SDI, 롯데정보통신 등 20개 기업 |
SK이노베이션 | SK네트웍스, 르노삼성 등 10개 기업 | |
GS칼텍스 | LG CNS, ABB 코리아 등 9개 기업 | |
지능형 신재생 에너지 (30개 기업) |
한국전력 | 남부발전, 효성, LS산전 등 15개 기업 |
현대중공업 | 맥스컴, 매가베스 등 5개 기업 | |
포스코ICT | LG화학, 대경엔지니어링 등 7개 기업 | |
지능형 전력망 (11개 기업) |
한국전력 | 한전KDN, 전기연구원 등 10개 기업 |
지능형 전력시장 (6개 기업) |
한국전력‧전력거래소 | 우암코퍼레이션, 바이텍정보통신 등 4개 기업 |
사업내용
- (지능형 소비자) 소비자와 전력공급자간 실시간 정보교환을 기반으로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최적화하는 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
* 첨단계량인프라(AMI), 에너지관리시스템(xEMS), 양방향 통신기술 개발 등 - (지능형 운송)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과 함께 다양한 충전모델 실증을 통한 신규 비즈니스모델 개발
* 급·완속 충전기, 전력망연동기술(V2G), 인터버, 커넥터 등 부품소재 개발 등 - (지능형 신재생) 대용량 배터리 활용을 통한 신재생에너지원의 계통안정성과 실시간요금 환경에서의 효율향상 시스템 구축 및 검증
* 마이크로그리드기술, 에너지저장기술, 전력품질보상기술, 전력망 연계기술 등 - (지능형 전력망) 지능형송전․디지털변전․배전자동화 등 전력망 고도화를 위한 기술실증 및 신재생에너지, 전기차 등의 불규칙한 전력 공급과 수요에 대한 능동적 대응시스템 마련
* 지능형 송배전시스템, 지능형 전력통신망, 지능형 전력기기 등 개발 - (신전력서비스) 통합운영센터 구축을 통한 실증단지 종합모니터링, 실시간 요금제도, 실시간 가상 전력거래시장 및 수요관리시장 운영
* 지능형 요금제 설계, 지능형 수요관리 시장 구축, 전력거래 기술 개발
추진실적
- 인프라 구축
- 기술개발
- ▪가정 및 빌딩의 전력사용량 계측
- ▪소비자와 공급자간 양방향 통신 인프라
- ▪웹서비스 및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 ▪에너지 정보 수집, 검침데이타관리시스템(MDMS 솔루션) 등
- ▪특허 2건
- ▪에너지 총량에 맞는 가전기기 원격 컨트롤
- ▪에너지 컨설팅 시스템
- ▪빌딩 에너지 관리(BEMS) 및 비교 분석 시스템
- ▪실증단지 통합플랫폼
- ▪스마트 단말을 활용한 N-Screen 서비스
- ▪가정/빌딩 에너지 프로파일링 및 제어 등
- ▪특허 10건
- ▪인증 5건
- ▪전기차 충전 시스템-충전예약, 배터리 잔량 모니터링, 충전소 정보, 과금 방법
- ▪전기차/스쿠터 운행 관제
- ▪스마트 파킹
- ▪전기차 충전기 등
- ▪특허 4건
- ▪인증 3건
- ▪디자인 1건
- ▪분산발전원 에너지 관리 시스템
- ▪계통연계형 전력변환 시스템
- ▪전력계통 모니터링 및 데이터 연계
- ▪전력망 안정화, 자동발전제어, 경제급전
- ▪가상전력시장 운영 관련 기술 등 19건
- ▪특허 2건
- ▪프로그램 등록 1건
- ▪에너지저장장치 운용 시스템
- ▪리튬 이차전지 및 전지 모듈
- ▪무효전력 제어
- ▪전기화학소자, 커패시터, 배터리팩, 세퍼레이터
- ▪V2G 제어 및 모니터링 등
- ▪특허 44건
- ▪스마트 미터 정보를 활용한 배전망 운영
- ▪송·배전기술, 전자식센서 및 스마트기기 등
- ▪특허 1건
- ▪스마트 미터 정보를 활용한 배전망 운영
- ▪송·배전기술, 전자식센서 및 스마트기기 등
- ▪특허 1건
- ▪DR부하자원 제어, 빌딩 에너지 효율화
- ▪수요반응 신호를 통한 전력사용량 감축 유도
- ▪트렌드 및 수요 예측 등
- ▪특허 1건
- ▪인증 1건
-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발전량 단기 예측
- ▪지능형 자동 급전 시스템
- ▪실증 기기, 장비 및 시스템에 대한 보안 및 국제표준 적용 등
- ▪특허 1건
- 사업모델 발굴 및 사업화
분야 | 구축기기 | 구축 현황 |
---|---|---|
지능형 소비자 (SP) |
네트워크운영센터(NOC) | 4개소 |
스마트미터 | 2,381기 | |
DCU(미터정보 수집 및 MDMS 연동) | 80대 | |
IHD(홈에너지 관리용 디스플레이) | 2,132기 | |
스마트가전(TV,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 277가구(586대) | |
배터리 | 882.5kW | |
지능형 운송 (ST) |
네트워크운영센터(NOC) | 3개소 |
완속충전기 | 146기 | |
급속충전기 | 37기 | |
고속전기차 | 65대 | |
저속전기차 | 21대 | |
전기스쿠터 | 28대 | |
지능형 신재생 (SR) |
네트워크운영센터(NOC) | 3개소 |
풍력발전기 | 4,540kW(7기) | |
태양광발전기 | 220kW(4기) | |
소수력발전기 | 60kW(2기) | |
디젤발전기 | 320kW(2기) | |
대용량배터리 | 2,460.75kWh(10기) | |
지능형 전력망 (SPG) |
전력망운영센터(PGOMS) | 1개소 |
배전지능화(낙뢰피뢰기 감시장치 외5종) | 37대 | |
디지털변전(지능형전자장치(IED)) | 26대 | |
GIS 감시진단장치(PDMU) | 1종 | |
지능형송전(송전선 감시센서 : 일사량, 온도, 풍향/풍속 센서) | 3개 | |
배전지능화(무효전력제어기, SVR, 변압기 감시장치 3종) | 7대 | |
지능형 서비스 (SES) |
통합운영센터(TOC) | 1개소 |
종합상황판(Smart Board)설치 | 1식 | |
실시간 요금시장 구축 | 1식 | |
기타 | 종합홍보관 | 1식 |
개별체험관 | 4식 |
구분 | 주요내용 | 재산권 |
---|---|---|
전력 품질 관리 |
|
|
에너지관리 시스템 (EMS) (20건) |
|
|
충전 인프라 (17건) |
|
|
전력망연동 (19건) |
|
|
에너지저장 (80건) |
|
|
지능형 전력기기 (1건) |
|
|
지능형 전력기기 (1건) |
|
|
수요반응 (4건) |
|
|
기타 (3건) |
|
|
사업모델 | 내용 | 서비스 개념도 |
---|---|---|
전력 재판매 서비스 | 전력시장에서 구매한 전력을 다양한 요금제를 적용하여 수용가에 전력 재판매 | ![]() |
수요반응 서비스 | 대용량 수용가로부터 수요 감축자원을 확보하고, 일정시간대 전력소비 감축 | ![]() |
수요측 발전자원 전력거래 서비스 | 수요측 발전자원을 활용하여 생산한 전력을 전력시장에 판매 대행 | ![]() |
전기차기반 가상발전소 운영서비스 | 전력수요 피크 시 전기차의 배터리 전력을 전력시장에 판매 대행 | ![]() |
전기차 급․완속 충전 서비스 | 전기차 배터리에 전기를 충전하는 전력 재판매 서비스 | ![]() |
전기차 이동 충전 서비스 | 전기차 배터리 방전 시 응급구조차량이 출동하여 급속충전 서비스 제공 | ![]() |
에너지소비 컨설팅 서비스 | 고객의 전력사용패턴을 분석하여 에너지소비을 절감할 수 있는 컨설팅 제공 | ![]() |
전기차 대여 서비스 | 전기차를 일단위 (Rental), 시간단위 (Sharing)로 대여하는서비스 | ![]() |
신재생에너지 출력안정화 및 품질개선 서비스 |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 대상으로 기기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 지원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