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
|
미국은 전력 인프라 시설이 노후하여, 대규모 정전사태와 같은 각종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 이에 대응하여 전력 공급의 안정성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해 전력 시스템 관련 기술과 IT를 융합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었고, 미국 에너지부는 전력산업의 미래를 이끌어 갈 Grid 2030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함. 스마트 그리드는 2030년까지의 전력 인프라 발전계획인 '그리드 2030'의 실천 전략으로 볼 수 있음 |
G-type Smart Meter
|
G형전력량계 |
역률, 무효전력 및 양방향 계량이 가능한 원격검침용 전자식 전력량계 |
G/W(Gateway)
|
게이트웨이 |
2개 이상의 다른 종류 또는 같은 종류의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여 통신망 간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기능 단위 또는 장치. 통신망에는 구내 정보 통신망(LAN), 공중 데이터망(PDN), 일반 전화 교환망(PSTN) 등이 포함됨 |
Gas Turbine Plant
|
가스터빈발전소 |
원동력이 가스터빈으로부터 나오는 발전소. 가스터빈은 축방향 흐름의 공기 압축기, 액체 또는 기체연료가 연소되는 한 개 또는 여러개의 연소실로 구성되며, 고온의 가스가 터빈을 통과하며 팽창하면서 발전기를 돌리고, 압축기를 구동시킴 |
Gas Zone Diagram
|
가스지역도 |
송전계통의 안전한 운용을 위하여 요구되는 관련 정지밸브 및 가스 모니터와 더불어, 접속지점에서 변전소를 구성하는 가스절연고압장치의 모듈간 경계 및 연결을 보여주는 단선도 |
Gasification of Coal
|
석탄가스화 |
고온에서 석탄에 산소, 수소, 공기, 수증기 등을 단독 또는 병용하여 반응시켜 수소, 일산화탄소, 메탄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가스를 얻는 기술로 먼지와 황산화물 등의 석탄 공해를 해결할 수 있으며, 석탄액화에 비해 기술의 안정성, 경제성 면에서 높게 평가되고 있음 |
GAVUON(Gross Asset Value of Use Of Network Assets)
|
망운영자산총자산가치 |
송전망 운영에 소요되는 자산을 금액으로 환산한 가치 |
General Electricity Operator
|
일반전기사업자 |
전기사업법에 의하여 일반전기사업의 허가를 받은 자. 대규모전기소비자와 구분됨 |
Generating Cost
|
발전원가 |
전력생산(발전)에 소요된 총 비용을 생산된 발전량으로 계산한 단위당(kWh) 발전 비용. 발전원가 = 고정비 + 변동비(연료비)로 구성되며, 고정비는 투자보수 및 제비용 + 고정운전유지비로 구성됨 |
Generating Unit Non Price Setting Indicator
|
발전기비가격결정지표 |
가격결정계획시 발전기가 계획상 가장 싼 발전소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동적 파라메터에 의하여 그 발전기가 계통한계가격으로 결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 |
Generating Unit Price
|
발전가격 |
계통한계가격의 결정을 위해 산출되는 거래기간 내의 개별 발전기별 전력생산 가격 |
Generation Bid
|
발전입찰 |
발전회사가 전력시장에 참여하기 위하여 제출하는 자료. 가격자료 및 입찰량 자료로 구성 |
Generation Business
|
발전사업 |
발전한 전기를 일반전기사업자에게 공급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사업 |
Generation Business Operator
|
발전사업자 |
전기사업법에 의하여 발전사업의 허가를 받은 자 |
Generation Capacity
|
발전용량 |
통상 MW로 표시되며, 발전기, 발전소 또는 다른 전기적 장치가 공급할 수 있는 최대전력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