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persed Generation
|
분산형전원 |
출력이 1,000kW부터 100kW정도의 소규모발전기.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연료전지, 폐기물발전, 바이오매스 발전, 소수력발전 및 마이크로 가스터빈발전 등이 있음 |
Distributed Generation
|
배전발전 |
변전소 단위의 지역적인 첨두부하를 만족시키거나 추가 배전선로를 대체할 목적으로 사업자의 배전계통에 위치한 소규모 발전계통 |
Distribution
|
배전 |
저전압 선로를 통해 최종 소매 소비자의 가정이나 사업체에 전기를 전달하는 과정 또는 설비. 전기적인 관점에서 120V 부터 69kV(또는 50kV)까지의 전기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함 |
Distribution Code
|
배전규약 |
배전망에 접속하는 공급자, 발전사업자, 소비자들이 준수해야 할 규약. 다양한 운전상황을 고려하여 작성되며, 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수립되고 개정됨 |
Distribution Connection Point
|
배전접속점 |
시장참여자 간에 설치되어 있는 배전망에서 상업적 한계점으로 합의된 전력인입 (또는 인출) 지점. 변압기를 기준으로 나눔 |
Distribution Factor
|
분배계수 |
일반적으로 특정 선로나 모선이 탈락되거나 발전력이 변동하였을 경우, 전력 조류의 분배되는 비율을 표시하는 계수 |
Distribution Line Extension Cost
|
배전선로증설비용 |
배전선로의 전기소비자가 새로이 전기를 사용하거나 계약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새롭게 시설하거나 변경 등을 반영한 증설 비용 |
Distribution Loss
|
배전손실 |
배전망에 흐르는 전력에서 발생하는 손실 |
Distribution Loss Factor
|
배전손실계수 |
배전손실을 반영하는 계수. 송전망과 배전접속점 간에 전송되는 전력량에 적용됨 |
Distribution System
|
배전계통 |
송전망으로부터 최종소비자에게 전기를 전송하는 계통의 부분. 일반적으로 계통운영자의 통제하에 있지 않으며 다른 송전망이나 배전망과 연결되어 있는 배전망상의 접속 자산을 포함함 |
Disturbance
|
외란 |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선로사고, 발전기탈락, 수요의 급격한 변동과 같은 비정상인 계통상황을 일으키는 사건 |
Diversified Planning Period Peak
|
부등성계획기간첨두 |
부등성 첨두에 대한 계획 측면에서의 예측. 부하예측값, 총 가용력 등을 기초하여 계산됨 |
DLC(Direct Load Control)
|
직접부하제어 |
연중 전력사용량의 첨두(peak)기간에 소비자의 부하를 사업자의 직접적인 제어를 통해 차단하는 행동. 주로 주거용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나 일부 산업용 소비자에게도 적용함. 이는 첨두(peak) 기간이 지난 후 소비의 증가가 발생하는 회수 (payback)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이 때문에 차단가능부하 프로그램과는 구별됨 |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
|
휴대전화나 PC, 디지털카메라 등에 저장된 내용을 홈 네트워크를 통해 TV나 프린터 등으로 디지털콘텐츠를 자유롭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국제규격 |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
|
분산네트워크프로토콜 |
전력산업을 위해 설계된 표준통신프로토콜. IEC60870-5의 101과 103규격을 근간으로 개발되었으며, 물리계층, 데이터 링크계층 및 응용계층으로 구성된 3계층을 기본 통신모델로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