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ect Current Power Transmission
|
직류송전 |
발전소에서 발전된 교류전력을 고압으로 승압하여 정류기로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켜 전력을 운송한 후, 수전점에서 다시 교류로 재변환시켜 공급하는 방식. 장거리 송전에 적합한 방식으로 국내에서도 완도-제주간에 1997년 건설되어 이용 중임 |
Disaggregation
|
분할 |
수직으로 통합된 사업자를 작고 개별적으로 소유되는 사업단위(즉, 발전, 급전, 제어, 송전, 배전)로 기능적으로 나누는 것 |
Disco(Distribution Company)
|
배전회사 |
최종소비자와 송전망을 연결하는 배전선로를 건설·유지하는 규제 전기사업자. 배전설비를 보유하거나 대여받기도 하며 소비자를 모집하고, 소비자에게 전력의 공급 및 전송서비스를 수행함 |
Disconnection
|
분리 |
계통망으로부터 사용자의 전력을 차단하기 위하여 스위치 등을 사용하여 물리적인 분리하는 것 |
Dispatch
|
급전 |
포괄적으로는 전력시스템의 운영측면에서의 제어를 일컫는 것. 일반적으로는 발전기 및 급전가능부하의 전력을 필요한 수요량에 맞추어 신뢰성있고 경제적으로 할당하는 작업을 의미함 |
Dispatch Algorithm
|
급전알고리즘 |
급전계획 및 시장가격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학적 알고리즘 |
Dispatch Center
|
급전소 |
전력시스템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급전원이 사용하는 모니터 및 통제장비가 설치된 곳. 계통사령실 내부에 위치함 |
Dispatch Hour
|
급전시간 |
급전일 내의 1시간 |
Dispatch Instruction
|
급전지령 |
계통운영자가 급전계획에 의거하여 시장참여자(발전기, 급전부하)에게 실시간 운영을 위해 내리는 명령 |
Dispatch Period
|
급전기간 |
선행급전 계획시에는 급전시간, 실제급전에서는 5분단위인 급전간격을 의미 |
Dispatch Price
|
급전가격 |
발전기 및 수요의 입찰자료에 의거한 급전계획 계산을 통해 한계발전기의 가격으로 결정되는 에너지가격, 기준점, 송전접속점, 그리고 배전접속점에 적용 |
Dispatch Schedule
|
급전계획 |
거래전일 제출된 입찰자료에 의거하여 계산된 선행급전계획 및 실시간 급전이 이루어지기 전에 최종자료를 통해 계산하는 급전계획. 계통운영자가 계산하며, 이를 토대로 발전기와 급전가능 부하에 실제급전지령을 내림 |
Dispatch Unit
|
급전발전기 |
급전지령을 따르는 발전기로, 중앙급전발전기 또는 복합화력모듈 발전기 |
Dispatchable Load
|
급전가능부하 |
계통수요의 변동 또는 송전상 안전도 제약에 대해 물리적 또는 계약적으로 감소 가능한 부하. 실시간 시장의 에너지 가격에 근거하여 선택됨 |
Dispatched Generation
|
급전발전량 |
급전계획에 의하여 급전지령이 내려진 발전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