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Factors
|
D계수 |
급전계획기간 중에 부하의 감발조정을 위해 사용되는 계수. 부하감발을 통해 예비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는 다양한 부하감발비율과 예비력요구량의 증가율을 고려하여 결정됨 |
D-RTU(Distributed Generation Remote Terminal Unit)
|
분산전원원격단말장치 |
분산전원계통 유입을 감시하는 장치 |
DAC(Direct Access Customer)
|
직접접속소비자 |
전력시장을 이용하지 않고 전기를 조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소비자 |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배전자동화시스템 |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전선로 자동화용 단말장치에서 취득한 배전설비의 현장정보(상태정보, 전류/전압, 고장유무 등)를 통신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현장 배전선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특히 고장구간을 신속히 파악함과 원거리에 산재해 있는 자동화개폐기를 배전 사령실에서 동시에 원격 감시·제어를 통해 정전구간 축소 및 고장 정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종합 시스템임 |
Day Ahead
|
전일 |
시장개시일 이전일. 시장에 따라 전일 작성하는 계획 및 예측자료의 제출 및 완료시간을 규정하고 있음 |
Day Ahead Market
|
전일시장 |
실제 전기를 구매자 또는 최종소비자에게 공급하는 시점보다 최소한 24시간 이전에 개설되는 선도시장 |
Day Ahead Operational Schedule
|
전일운전계획 |
거래 전일에 수립된 계통제약조건을 반영하여 작성한 거래당일의 실제 급전계획 |
DC Charger
|
|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충전기 출력 전원이 직류인 충전기 |
DCU(Data Collection Unit)
|
데이터수집장치 |
스마트미터의 계량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가변 요금정보를 수용가에 전송하는 장치 |
De-Load
|
부하감발 |
계통에 동기화되어 있는 급전발전기에서 전력공급을 감발하거나 중단하게 되는 상황 |
De-synchronisation
|
계통병해 |
일반적인 통제 상황에서 전력시스템의 접속점으로부터 발전기를 분리하는 행위 |
Declared Inflexibilities
|
신고비가변성 |
매일 오전 일정시간(예 :10:00)까지 발전사업자가 계통운영자에게 발전소 가동의 가변성여부를 신고한 내용. 이는 주파수응답에 따른 발전출력조정의 가능 여부를 위해 필요함 |
Declining Block Rates
|
감소블록요율 |
전기소비가 일정범위 이상으로 증가할 때 오히려 전력량 가격을 하락시켜 더 많은 전력소비를 유발시키는 요율 구조 |
Declining Metered Rate System
|
체감종량요금제 |
사용전력량에 따라 체감요율이 적용되는 요금제. 즉 사용량의 증가에 대한 요금의 증가비용이 낮아지는 제도임 |
Decremental Cost
|
감분비용 |
자신의 발전소를 운영하지 않고 타자원(수요감소자원, 타 공급자의 발전)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음으로 회피되는 비용. 회피비용의 개념으로 구입전력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는 근거로 사용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