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onnection Agreement)
|
접속협약 |
계통의 사용자가 계통에 접속하는 데 따른 조건과 규정이 정해진 송전사업자 또는 배전사업자와 시장참여자 간에 체결하는 협정 |
CA(Contingency Analysis)
|
상정사고해석 |
신뢰도 기준에 따라 사고를 상정하여 사고 후의 계통상태를 파악 및 분석하는 것. 선로, 발전기 등에 대해 1개의 계통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일반적임 |
CAES(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
압축공기전지 |
전력이 저렴한 시간에 (암반)대수층, 소금돔, 동굴 등에 공기를 압축하여 저장하고, 전력이 비싼 피크시간에 압축된 공기를 가스터빈 압축기에 제공하여 전기를 생산토록 하는 에너지저장장치 |
Calculated Operating Capacity
|
계산운영용량 |
총 부하량, 총 운영예비력, 비원격검침 발전량, 양수 발전량의 합에서 연계선로 조류를 차감한 용량 |
CAN(Controller Area Network)
|
계측제어통신망 |
ISO 11898의 Physical layer이며 저렴한 비용의 고신뢰성을 제공하는 비동기 통신 방식 |
Cancelled Start
|
기동취소 |
발전기가 계통병입이나 기동대기 지시의 취소 이후 발전기가 내는 응동 |
Capability
|
능력, 가능출력 |
발전기나 기타 설비들이 주어진 조건하에서 정해진 한계를 넘지 않으면서 최대로 전송가능한 부하량 |
Capacitance
|
정전용량 |
전기회로에서 저항, 인덕턴스와 함께 회로가 지닌 주요 속성 중 하나. 전하를 담을 수 있는 그릇의 크기로서 비례상수, 커패시턴스라고 함 |
Capacity
|
용량 |
계통의 부하를 연속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능력. 발전, 송전, 또는 다른 전기적 설비의 MW 또는 MVA로 표시됨 |
Capacity Charge
|
용량부과금 |
에너지 요금과는 별도로 부과되며 구매되는 용량의 크기에 따라 부과되는 요금. 안정적인 예비력 확보를 목적으로 일정 수준 이상의 설비용량을 확보하는 데 필요한 설비비용을 회수하기 위해 만든 제도로서 사용한 최대수요에 근거하여 대규모 소비자들에게 부과됨 |
Capacity Emergency
|
용량비상 |
자체 발전용량과 타계통으로부터 상시 구매하는 용량을 합쳐도 전체수요와 상시 판매량, 조정 요구량의 합보다 부족한 상태 |
Capacity Factor
|
이용률 |
일정기간동안 실제 발전량과 발전설비가 낼 수 있는 총 발전량을 비교하여 어느 정도 발전하였는가를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으로 설비의 효율적인 이용정도를 의미 |
Capacity Market
|
용량시장 |
발전사업자가 해당지역의 최대 전력 수요에 일정량의 예비 전력을 더한 양을 반드시 공급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설비를 확충하거나, 다른 발전 회사로부터 발전량을 거래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예비전력을 확보토록 의무화하는 시장제도 |
Capacity Release
|
용량양도 |
자신의 모든 용량을 사용하지 않은 소비자와 체결하여 이를 되팔도록 만든 2차 용량시장 |
Capacity Reserve
|
설비예비력 |
발전설비용량에서 최대수요를 차감한 양으로 공급예비력과 대비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