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CP(Building Smart Cabinet Panel)
|
빌딩지능형수배전반 |
빌딩 내에 설치되는 SCP(수배전반)으로, 아파트의 경우 각 세대의 H-SCP (HomeSCP)들은 각 동마다 설치된 B-SCP에 계층적으로 연결되어 관리되며, 물탱크, 엘리베이터 등의 설비들을 RS-485 통신을 이용하여 감시·제어함 |
Backup Protection
|
후비보호 |
차단기나 주보호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전력시스템 고장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동작하도록 만든 보호설비 |
Backup Reserve Capability
|
후비예비력 |
특정지점에 전기를 공급하는 특정전기사업자가 발전기의 사고, 보수, 검사 등에 의하여 전기를 공급하지 못할 때를 대비하여 일반전기사업자로부터 부족한 전기를 공급 받는 것 |
Backup Reserve Capability Provision
|
후비예비력규정 |
특정전기사업자가 해당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전기에 부족이 생긴 경우 일반전기 사업자가 그 특정전기사업자에게 전기를 공급할 것과 그 공급조건을 내용으로 하는 규정 |
Backup Reserve Capability Tariff
|
후비예비력요금 |
일반전기사업자가 특정전기사업자에게 후비 예비력에 따른 전력요금을 받는 것 |
Ball Sensor
|
볼센서 |
송전선 또는 배전선에 직접 취부하여 전력선의 운전상태 및 이상을 감시· 진단하는 장치로 전류, 전선온도, 기울기,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하는 센서 및 카메라 등을 포함하고 있는 장치 |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
빌딩자동화시스템 |
대형 빌딩의 냉난방, 조명, 방범 등 관리기능을 관제실에 설치된 관리 전용 컴퓨터로 조절하는 시스템 |
Base Load
|
기저부하 |
전체 부하 가운데 한정된 기간 동안에 연속적으로 걸리는 부하. 하루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 24시간 동안 계속 걸리는 부하를 말함 |
Base Load Plant
|
기저부하발전소 |
수요변동에 따른 발전기의 출력조정이 적어 일정수준의 출력으로 계속 운전되는 발전소. 우리나라의 경우 원자력 및 유연탄발전소가 기저부하를 주로 담당하고 있음 |
Base Load Supply
|
기저부하공급 |
기저부하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공급. 첨두자원에 비해 고정비가 높고 변동비가 낮는 특성을 지님 |
Base Maintenance Cost of Connection
|
접속자산유지보수기본비용 |
정해진 기간에 송전회사와 접속 상대방 간에 합의된 접속설비에 관한 기본 유지보수부과금 |
BAU(Business As Usual)
|
배출전망치 |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때 예상되는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량 |
Bay Level
|
베이레벨 |
변전소의 주요한 기능인 보호, 제어, 감시, 계측을 수행하는 IED들로 구성된 시스템의 범위를 말함 |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 |
환경센서, 측정기술 등 IT기술을 활용하여 건물 에너지 사용량 등을 파악하고, 각종 설비 운전 추이를 종합·분석해 최적 운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에너지절감시스템 |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 |
태양광 발전기, 풍력발전기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계통 전원과 결합하여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계통연계용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