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Asset Cost of Connection assets)
|
접속자산비용 |
접속자산의 총자산 가치를 감가상각 기간으로 나눈 것 |
ACE(Area Control Error)
|
지역통제오차 |
주파수 조정량을 고려한 실제 융통전력과 사전계획 융통전력과의 차이 |
ADAPS(Autonomous Demand Area Power Systems)
|
자율적수요지역전력관리시스템 |
분산전원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요지역 전력관리시스템 |
ADAS(Advanced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지능형배전시스템 |
GIS 기반에서 SCADA, DAS, AMR 연계 시스템과 분산전원을 고려하여 통합운영 기능을 수행하고, 진단센서 내장 변압기 등 지능형 배전기기를 통해 손실 최소화, 부하균등화 등 배전계통의 최적화 운전시스템 |
Adequacy
|
적정성 |
계통의 계획 고장정지나 갑작스런 고장에도 항상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전력시스템의 능력 |
Adjusted Planned Purchase
|
조정계획구입량 |
부하전기공급자가 계획 설비용량 또는 실제 설비용량이 예측된 의무용량보다 부족한 양 |
Adjusted Primary(Calculated)
|
조정1차예비력 |
조정순동예비력과 속응기동예비력의 총합에서 비용량 연계구매량을 차감한 것. 이는 연계구입량이 줄어들거나 비수력 속응기동발전설비가 고장날 경우에 대해 1차 예비력을 값을 조정한 것임 |
AGC(Automatic Generator Control)
|
자동발전제어 |
전력계통의 주파수 변동에 따른 전력수급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발전기별 출력의 증가와 감소량을 EMS에서 계산하고 신호를 송출하여 제어하는 것 |
ALD(Automatic Load Dispatch)
|
자동부하급전 |
자동적으로 부하에 따라서 빠르게 급전이 되도록 하는 기능 |
AM(Amplitude Modulation)
|
진폭변조 |
신호파가 반송파에 의해서 진폭이 변하는 변조방식. 장파·중파·단파 방송은 이 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짐 |
AMR(Automatic Meter Reading)
|
자동원격검침 |
전기, 가스, 수도 등의 사용량을 검침원이 직접 방문해 수작업으로 하던 일을 IT기술을 이용해 중앙검침센터에서 자동으로 수행하는 시스템 |
Applicable Rate
|
적용요율 |
에너지 이용에 대해 정의된 요율 |
Authority For Access
|
접속권관리기관 |
고압선로 지역에 접속할 수 있는 권리를 소유자에게 부여하는 관할기관 |
Available but not Needed Capability
|
제외가용력 |
가동할 수는 있지만 30분 안에 부하에 접속되어 공급할 수 없어 부하를 감당하기 위한 고려차원에서 제외된 발전기들의 총용량 |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
자동전압조정기 |
출력전압 변동을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여 부하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토록 하는 장비로 변압기, 발전기 등에서 전압조정에 쓰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