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SCP(Building Smart Cabinet Panel)
|
빌딩지능형수배전반 |
빌딩 내에 설치되는 SCP(수배전반)으로, 아파트의 경우 각 세대의 H-SCP (HomeSCP)들은 각 동마다 설치된 B-SCP에 계층적으로 연결되어 관리되며, 물탱크, 엘리베이터 등의 설비들을 RS-485 통신을 이용하여 감시·제어함 |
Ball Sensor
|
볼센서 |
송전선 또는 배전선에 직접 취부하여 전력선의 운전상태 및 이상을 감시· 진단하는 장치로 전류, 전선온도, 기울기, 풍향, 풍속 등을 측정하는 센서 및 카메라 등을 포함하고 있는 장치 |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
빌딩자동화시스템 |
대형 빌딩의 냉난방, 조명, 방범 등 관리기능을 관제실에 설치된 관리 전용 컴퓨터로 조절하는 시스템 |
BAU(Business As Usual)
|
배출전망치 |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때 예상되는 미래의 온실가스 배출량 |
Bay Level
|
베이레벨 |
변전소의 주요한 기능인 보호, 제어, 감시, 계측을 수행하는 IED들로 구성된 시스템의 범위를 말함 |
BESS(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 |
태양광 발전기, 풍력발전기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시스템을 계통 전원과 결합하여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필요한 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계통연계용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 |
BEV(Battery Electric Vehicle)
|
배터리전기자동차 |
이차전지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
배터리관리시스템 |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유지·사용할 수 있도록 배터리 시스템을 자동 관리하고, 배터리의 교체시기를 예측하고 문제의 배터리를 사전에 발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
BWR(Boiling Water Reactor)
|
비등수형원자로 |
원자로 종류의 하나로 핵반응이 일어나는 원자로 용기 속에서 냉각수가 끓어 직접 증기가 생산되는 개념으로 증기를 발생시키는 방법이 화력발전과 같음 |
Complex
|
복합장소 |
발전소, 변전소 그리고 관련 설비가 함께 존재하는 접속장소 |
D-RTU(Distributed Generation Remote Terminal Unit)
|
분산전원원격단말장치 |
분산전원계통 유입을 감시하는 장치 |
DAS(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배전자동화시스템 |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배전선로 자동화용 단말장치에서 취득한 배전설비의 현장정보(상태정보, 전류/전압, 고장유무 등)를 통신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주 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현장 배전선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특히 고장구간을 신속히 파악함과 원거리에 산재해 있는 자동화개폐기를 배전 사령실에서 동시에 원격 감시·제어를 통해 정전구간 축소 및 고장 정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종합 시스템임 |
De-Load
|
부하감발 |
계통에 동기화되어 있는 급전발전기에서 전력공급을 감발하거나 중단하게 되는 상황 |
DER(Distributed Energy Resource)
|
분산전원 |
출력이 1,000kW부터 100kW정도의 소규모발전기. 풍력발전, 태양광발전, 연료 전지, 폐기물발전, 바이오매스 발전, 소수력발전 및 마이크로 가스터빈발전 등이 있음. 이는 경제성이 높고 수요지에 근접하여 건설할 수 있으며, 환경친화적이며, 송전비용이 없고, 배전비용은 약 절반이면 됨 |
DGMS(Distributed Generation Monitoring System)
|
분산전원감시시스템 |
전력망에 존재하는 다양한 분산발전자원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스템으로 DMCS와 DMF에 발전자원의 상태정보를 제공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