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vailability
|
가용력 |
발전기나 송전설비 같은 설비가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시간 비율로 고려되는 기간의 퍼센티지 비율로 측정됨. 발전기의 가용력은 특히 급전에 이용할 수 있는 등록된 전체 용량을 일컬음 |
Availability Declaration
|
가용력신고 |
발전사업자나 외부 풀 회원들이 자신의 발전기 또는 발전거래용량에 대해 가용력 신고기간 동안 급전 가능여부를 제출하는 것 |
Availability Declaration Period
|
가용력신고기간 |
급전일 전일 21시부터 급전일 이후 12시까지의 기간 |
Availability Factor
|
가용률 |
발전기가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간을 전체 기간에 대한 비율로 나타낸 것 |
Availability Payment
|
가용력지불금 |
급전계획에서 급전대기 지정된 가용력에 대해 고정비용을 완전히 회수되도록 하기 위해 지급하는 비용. 즉, 발전소가 실제로 수요가 낮게 나타나서 운전되지 않았을 경우 이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하는 비용으로, 충분한 수급상의 대기용량을 확보하기 위해 지급하는 비용임 |
Availability Test
|
공급능력시험 |
발전사업자가 자사 중앙지령발전기에 대하여 입찰한 수준으로 가동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위배시의 벌칙적용을 확인하는 시험 |
Available but not Needed Capability
|
제외가용력 |
가동할 수는 있지만 30분 안에 부하에 접속되어 공급할 수 없어 부하를 감당하기 위한 고려차원에서 제외된 발전기들의 총용량 |
Available Capacity
|
가용용량 |
화력발전소의 경우 적절한 중질의 연료로 전체 설비의 연속가동 운전 시에 낼 수 있는 최대전력. 수력발전소의 경우는 유입량과 수압의 최적 값에서 전체 설비를 가동하였을 때 정해진 기간동안에 낼 수 있는 최대출력을 의미함 |
Available Generation
|
가용발전량 |
중앙급전발전기 또는 부하가 급전가능한 용량으로 입찰한 용량. 즉 최대설비 가용용량을 말함 |
Avoided Cost
|
회피비용 |
전력회사가 신규 발전설비를 건설하지 않고 다른 자원(발전자원, 수요자원)을 이용했을 경우에 회피되는 발전 또는 송전비용 |
Avoided Energy Cost
|
회피에너지비용 |
추가적인 한 단위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 드는 추가적 연료비, 유지보수비, 또는 다른 발전원으로부터 에너지를 구매하는데 드는 비용이 반영된 회피비용 |
AVR(Automatic Voltage Regulator)
|
자동전압조정기 |
출력전압 변동을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여 부하에 일정한 전압을 공급토록 하는 장비로 변압기, 발전기 등에서 전압조정에 쓰임 |
AWEA(American Wind Energy Association)
|
AWEA(American Wind Energy Association) |
풍력과 관련 발전, 제조 및 서비스를 담당하는 2,500개 회사들로 구성된 미국 풍력 산업의 국가적 협회임 |
B-SCP(Building Smart Cabinet Panel)
|
빌딩지능형수배전반 |
빌딩 내에 설치되는 SCP(수배전반)으로, 아파트의 경우 각 세대의 H-SCP (HomeSCP)들은 각 동마다 설치된 B-SCP에 계층적으로 연결되어 관리되며, 물탱크, 엘리베이터 등의 설비들을 RS-485 통신을 이용하여 감시·제어함 |
Backup Protection
|
후비보호 |
차단기나 주보호시스템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전력시스템 고장이 해소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하여 동작하도록 만든 보호설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