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
|
미국은 전력 인프라 시설이 노후하여, 대규모 정전사태와 같은 각종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음. 이에 대응하여 전력 공급의 안정성 및 신뢰도 제고를 위해 전력 시스템 관련 기술과 IT를 융합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었고, 미국 에너지부는 전력산업의 미래를 이끌어 갈 Grid 2030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함. 스마트 그리드는 2030년까지의 전력 인프라 발전계획인 '그리드 2030'의 실천 전략으로 볼 수 있음 |
3 Phase Short Circuit
|
3상단락 |
3상 교류회로에서 어떤 원인으로 3선이 모두 접촉하는 사고 또는 3선이 모두 지락을 일으킨 사고. 3상 단락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함. 1선 지락에서 2상 지락, 3상 단락 등으로 이행함 |
AC Charger
|
AC Charger |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충전기 출력전원이 교류인 충전기 |
ACC(Asset Cost of Connection assets)
|
접속자산비용 |
접속자산의 총자산 가치를 감가상각 기간으로 나눈 것 |
Accreditation Administrator
|
인허가관리자 |
전력시장 접속에 대한 인가 및 허가권을 가지는 자 |
ACE(Area Control Error)
|
지역통제오차 |
주파수 조정량을 고려한 실제 융통전력과 사전계획 융통전력과의 차이 |
Active Energy
|
유효에너지 |
일정시간동안 회로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 단위는 Wh임 |
Active Power
|
유효전력 |
실제 유효하게 일을 하는 전력. 교류에서 전압과 전류, 그리고 위상을 같게 하기 위한 역률의 곱을 말함 |
Active State
|
가동상태 |
회피비용 산출법에 따라 기동가격, 무부하가격 및 증분가격을 적용 받을 수 있는 운전상태 |
Actual Market Payment
|
실제시장지불금 |
급전기간동안 급전명령을 받은 시장참여자가 받는 거래 금액의 합. 보상지불금을 결정할 목적으로 이용됨 |
ACUON(Asset Cost of Use Of Network)
|
망사용자산비용 |
망사용총자산가치를 망사용 자산의 감가상각 기간으로 나눈 것 |
ADAPS(Autonomous Demand Area Power Systems)
|
자율적수요지역전력관리시스템 |
분산전원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수요지역 전력관리시스템 |
ADAS(Advanced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
지능형배전시스템 |
GIS 기반에서 SCADA, DAS, AMR 연계 시스템과 분산전원을 고려하여 통합운영 기능을 수행하고, 진단센서 내장 변압기 등 지능형 배전기기를 통해 손실 최소화, 부하균등화 등 배전계통의 최적화 운전시스템 |
Additional Reactive Service
|
추가무효전력공급 |
정상운전 상태에서 계통전압을 안정시킬 목적으로 발전기 역률을 지상 또는 진상으로 조정하여 추가로 무효전력을 공급하는 것 |
Adequacy
|
적정성 |
계통의 계획 고장정지나 갑작스런 고장에도 항상 전기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전력시스템의 능력 |